“와 대한민국 완전 망했네요” 미국교수의 충격발언, 그 이유는?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와! 그 정도로 낮은 수치의 출산율은 들어본 적도 없어요.”



조앤 윌리엄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법대 명예교수는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78명이라는 사실을 듣고 믿기지 않는다는 듯 양손으로 머리를 부여잡았다. 미국의 유명 교수가 대한민국의 출산율을 듣고 보인 반응은 한국인들을 씁쓸하게 만들었다. 


교육방송(EBS)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10부 맛보기 영상에서 공개된 이 장면은 지난 22일 엑스(옛 트위터)에 올라온 뒤 이틀 만인 24일 오전까지 조회 수가 47만회를 넘기며 화제가 되고 있다. 


누리꾼들은 대체로 윌리엄스 교수의 반응에 공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에서는 “떨어진 출산율이 이해되는 현재 사회 상황이 더 무섭다” “육아휴직·해고+집값+실업률→비혼→출산율 감소”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합계출산율이란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 수를 가리키는 수치다. 합계출산율 0.78명은 통계청이 올해 초 발표한 ‘2022년 출생·사망 통계(잠정)’ 자료에 나온 수치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20년 기준 OECD 평균 합계출산율(1.59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EBS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 이미지 교육방송 엑스 갈무리

EBS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 이미지 교육방송 엑스 갈무리


OECD 38개국 중 1위인 이스라엘은 2.9명, 2위인 멕시코가 2.08명이다. 35위인 일본의 출산율은 1.33명이고, 꼴찌에서 두 번째(37위)인 이탈리아의 합계출산율도 1명이 넘는 1.24명이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를 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59명·2020년 기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OECD 회원국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1명이 채 안 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도 0.81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저 수준이다. 지금 추세대로면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인구학자 데이비드 콜먼 옥스퍼드대 명예교수는 이미 지난 2006년 유엔 인구포럼에서 한국이 심각한 저출생 현상이 계속되면 인구 소멸로 지구 상에서 사라지는 첫번째 나라가 될 것이라고 지목했다. 콜먼 교수는 지난 5월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저출산 위기와 한국의 미래’ 심포지엄에서도 “인구 감소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동아시아에서 두드러진다”며 “이대로라면 한국은 2750년 국가가 소멸할 위험이 있고, 일본은 3000년까지 일본인이 모두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역시 지난해 5월 X(옛 트위터)에서 “한국이 홍콩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 붕괴를 겪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출처: https://www.nanamc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7